코스피 4100선 붕괴! 4년 만의 외인 '역대급 투매'가 시작된 이유 (2025. 11. 4)

728x90
반응형

 

[2025년11월4일 주식 마감 시황]

 

안녕하세요.경제적 자유를 갈망하는 어백입니다.

오늘 시장,하루만에 크게 무너지면서... 정말 20년 투자 경험에서도 손에 꼽을 만큼 극단적인 모습이었습니다.

코스피는 무너지고 코스닥은 날아올랐습니다.

이 현상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오늘 어백이 블로그에서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 오늘의 시장 한눈에 보기

  • 날짜: 2025년 11월 4일 화요일
  • 오늘의 핵심 이슈: 코스피, 외국인 4년 3개월 만의 최대 순매도(-2.5조)에 -2.37% 급락. 반면 코스닥은 바이오/AI 테마주 급등에 +1.31% 상승 마감.
구분 지수 (등락) 외국인 수급 기관 수급 거래대금
코스피 4,121.74 (▼100.13, -2.37%) -2조 5,097억 -7,372억 20조 7,011억
코스닥 926.57 (▲12.02, +1.31%) +2,250억 +1,675억 12조 642억

📊 어백의 시장 종합 분석

1. 코스피: 외인 2.5조 매도 폭탄, 개인이 3.2조 받아내다

오늘 코스피는 처참했습니다. 외국인이 무려 2조 5,097억 원을 쏟아냈는데, 이는 2021년 8월 이후 4년 3개월 만의 최대 규모입니다. 반면 개인 투자자가 3조 2,104억 원을 순매수하며 이 물량을 모두 받아냈습니다.

  • 어백의 분석:문제는 이 매도를 개인이 전부 받아냈다는 점입니다. 2021년 고점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있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던지는 물량을 개인이 받아내며 지수가 하락하는 것은 가장 좋지 않은 수급 형태입니다. 2.5조 원이라는 규모는 단순한 조정이 아닐 수 있습니다. 내일도 외국인의 매도세가 이어진다면 단기 고점을 형성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합니다.
  • 최근 '11만전자', '60만닉스'를 외치며 과열 양상을 보이던 반도체 대형주에서 외국인들이 '제대로' 차익 실현에 나선 모습입니다. APEC 정상회의 기대감 등 호재가 선반영된 후, 급등 피로감과 함께 매물이 쏟아진 것이죠.

2. 코스닥: 대형주에서 빠져나온 돈, 바이오로 몰리다

코스피와 정반대였습니다. 외국인(+2,250억)과 기관(+1,675억)이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를 1.3% 넘게 끌어올렸습니다.

개인만 3,707억 원을 순매도했습니다.

  • 어백의 분석:특히 HLB 그룹의 대형 호재가 터지며 바이오 섹터 전반에 투자 심리를 불어넣었고, 어제 상장한 '노타'가 AI 테마의 힘을 입증하며 코스닥의 활기를 이끌었습니다. 코스피가 주춤하는 동안 코스닥이 '키 맞추기'를 시도하는 전형적인 흐름입니다.
  • 시장의 돈이 코스피 대형주(반도체, 자동차)에서 빠져나와 코스닥의 성장주(바이오, AI)로 명확하게 이동했습니다. 이것은 시장이 완전히 죽은 것이 아니라, 내부적으로 뜨거운 '순환매'가 돌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 상한가 종목 및 원인 분석

오늘은 코스피 1종목, 코스닥 3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1. HLB글로벌 (코스피) / HLB바이오스텝 (코스닥)
    • 회사 개요: HLB 그룹의 계열사들.
    • 상한가 이유: 모회사인 HLB가 영국 자산운용사 LMR파트너스로부터 약 2,00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그룹주 전체가 동반 급등했습니다.
    • 어백의 분석: 2,000억이라는 실질적인 '현금'이 유입된다는 것은 단순한 기대감이 아닌 강력한 재료입니다. 시장은 이를 HLB의 신약 파이프라인 가치에 대한 글로벌 자본의 '인정'으로 받아들였습니다. 오늘 바이오 섹터 전반의 강세를 이끈 핵심 동력이었습니다. [특징주] HLB, 글로벌 자산운용사 2천억원 투자 유치에 급등 | 연합뉴스
  2. 노타 (코스닥)
  3. 케이이엠텍 (코스닥)
    • 회사 개요: 카메라 모듈 부품(IR필터) 및 2차전지 부품(캔, 캡 어셈블리) 제조사.
    • 상한가 이유: 글로벌 배터리사와 미국 ESS(에너지저장장치)용 각형 캡 부품 공급을 위한 총 1,000억 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 이슈가 나오면서 상한가 마감했습니다.
    • 어백의 분석: 시장이 코스닥 중소형 테마주를 활발하게 찾는다는 증거입니다. 코스피가 무너지는 와중에도 2차전지, AI 등 성장 테마는 여전히 살아있음을 보여줍니다. 다만 이종목은 시총이 1000억 미만기업임. 변동성 주의 필요. 케이이엠텍, 美 ESS용 각형 캡 부품 공급 계약 체결

🛒 외국인/기관 핵심 매수 종목

오늘 같은 혼돈의 장에서 '그들'이 무엇을 샀는지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코스피 외국인: SK스퀘어, 삼성중공업, S-Oil, 이수페타시스, LG에너지솔루션
  • 코스피 기관: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 KODEX 200선물인버스2X, SK하이닉스, KODEX 인버스, KB금융
  • 코스닥 외국인: 알테오젠, 레인보우로보틱스, 에이비엘바이오, 리가켐바이오, 이오테크닉스
  • 코스닥 기관: 알테오젠, 리가켐바이오, 이오테크닉스, 에이비엘바이오, HLB
  • 어백의 분석:
    • 코스피: 기관의 매수 리스트가 흥미롭습니다. 코스닥 상승에 베팅하는 '레버리지'와 코스피 하락에 베팅하는 '인버스'를 동시에 샀습니다. 이는 시장의 방향성 자체를 헤지(hedge)하는, 즉 갈피를 못 잡는 모습입니다. 와중에 SK하이닉스를 매수한 것은, 외국인의 대량 매도 물량을 기관이 일부 받아내며 '딥 매수'를 시도한 것으로 보이나 규모 면에서 역부족이었습니다.
    • 코스닥: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로 '바이오(알테오젠, 에이비엘바이오, 리가켐바이오)'와 '반도체 소부장(이오테크닉스)'을 샀습니다. 수급이 명확하게 일치했습니다. 코스닥 랠리의 핵심 동력이 이 종목들에 있었습니다.

🔥 거래대금 상위 특징주 (5% 이상 상승)

오늘 거래대금(TOP20 기준)이 터지면서 5% 이상 급등한 종목들입니다. 시장의 주도주라 할 수 있습니다.

  1. 노타 (+30.00%): [신규주, AI] 상한가 분석 참고.
  2. HLB (+13.68%): [HLB그룹주, 바이오] 2,000억 투자 유치. 그룹주 랠리 견인.
  3. 필옵틱스 (+11.91%): [반도체, 유리기판] '유리기판'이라는 차세대 반도체 공정 테마주로 강력한 수급이 유입됐습니다. 시장은 항상 새로운 먹거리를 찾고, 유리기판이 그중 하나입니다.
  4. 대한전선 (+7.75%): [전력기기] AI 데이터센터 확충, 글로벌 전력망 교체 수요 등으로 꾸준히 부각되는 전력 인프라 관련주입니다.
  5. 에이비엘바이오 (+7.65%): [바이오]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유입. HLB가 불씨를 지핀 바이오 섹터 내 순환매의 수혜주입니다.
  6. 한미약품 (+6.49%): [바이오] 전통의 바이오 대형주. 역시 바이오 섹터 전반의 온기에 힘입어 상승했습니다.

📰 오늘의 시장 요약 및 내일 전망

  • 요약: "코스피 대형주의 처참한 몰락"과 "코스닥 바이오/테마주의 화려한 부활"로 요약됩니다. 4년 만에 터진 외국인의 2.5조 매도 물량을 개인이 모두 받아내는, 매우 좋지 않은 수급이 코스피에서 연출되었습니다.
  • 전망:내일의 관전 포인트는 두 가지입니다.
    1. 외국인이 삼성전자/SK하이닉스에 대한 매도세를 이어가는가?
    2. 코스닥 바이오(HLB, 알테오젠 등)와 AI(노타) 테마가 오늘 상승세를 이어가는가?
    코스피가 무너지더라도 코스닥이 버텨주는 장이 이어진다면, 시장의 돈은 철저히 '성장 테마'가 있는 코스닥 중소형주로 집중될 것입니다. 당분간은 지수 추종 매매보다는 확실한 재료와 수급이 확인되는 종목 중심의 '선별적 접근'이 유효한 시기입니다.
  • 단기적으로 코스피의 추가 조정 가능성을 열어둬야 합니다. 2.5조 원의 매도세는 하루 만에 끝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외국인이 매수를 멈추고 관망세로 돌아서는 것만 확인되어도 다행입니다.

 

 

오늘 하루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시장이 어려울수록 원칙을 지키는 투자가 빛을 발합니다.

 

더 많은 정보알아보기

🚀 'AI 경량화 대장주' 노타(NOTA) .. : 네이버블로그

2025.11.04 - [주식 스터디 및 정보/종목 분석] - 💎 필옵틱스, 지금 알아봐도 괜찮을까? (OLED, 2차 전지, 이젠 '유리기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