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11월 5일 주식 마감 시황]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갈망하는 어백이입니다. 20년 동안 주식 시장을 지켜보며 느낀 것은, 시장은 결코 만만치
않다는 것입니다. 오늘(2025년 11월 5일) 시장은 미국발 'AI 버블론' 확산이라는 강력한 충격파를 맞으며 투자자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들었습니다. 코스피와 코스닥 양대 지수가 장중 한때 -6% 넘게 폭락하고,
삼성전자가 96,700원까지 밀리는 아찔한 순간이었습니다.
저 역시 장 초반 급락세에 3,800선까지 밀리는 것을 보며 큰 우려를 표했지만,
결과적으로 4,000선은 지켜내며 심리적 마지노선은 방어했다는 데 의미를 두고 싶습니다.
이 엄청난 변동성 속에서 시장이 우리에게 말하려는 것은 무엇일까요?
📊 오늘의 시장 현황 분석 (2025년 11월 5일 화요일)
| 구분 | 지수 | 등락률 | 수급 (순매수) | 거래대금 (백만원) |
| 코스피 | 4,004.42 | -2.85% | 개인 +25,660억, 외국인 -25,186억, 기관 -790억 | 28,516,400 (약 28.5조 원) |
| 코스닥 | 901.89 | -2.66% | 개인 +5,644억, 외국인 -5,997억, 기관 +420억 | 10,887,434 (약 10.9조 원) |
📝 어백이의 코멘트 및 전망
- 지수 급락 배경: 오늘의 핵심 이슈는 단연 미국발 'AI 버블론' 확산입니다. 단기 급등 피로감이 누적된 상황에서 터진 악재였기에, 코스피는 장중 -6% 이상 급락하며 3,867.81까지 밀렸고, 양시장 매도 사이드카까지 발동되었습니다. 2.85% 하락은 3개월 만에 가장 큰 낙폭이지만, 장중 저점 대비로는 극적인 반등이었습니다.
- 수급 특징과 통찰:
- 코스피: 외국인이 2조 5천억 원이 넘는 대규모 매도 물량을 쏟아냈습니다. 이에 맞서 개인이 2조 5천억 원 이상 순매수하며 지수를 방어했습니다. 거래대금이 28.5조에 달했다는 것은, 이 폭락과 반등 과정에서 엄청난 손바뀜과 투매, 그리고 저가 매수세가 격렬하게 충돌했다는 의미입니다.
- 코스닥: 외국인이 순매도한 가운데, 코스피와는 달리 기관은 소폭 순매수(+420억)로 전환했습니다. 코스닥 역시 장중 -6%대 폭락 후 낙폭을 크게 줄였습니다.
- 초대형주의 극적인 반등:
- 삼성전자: 장중 -7.2%까지 밀리며 96,700원까지 하락, 10만 전자가 무너지는 공포를 주었으나, 10만 원 선을 회복하며 -4.10%로 마감했습니다.
- SK하이닉스: 장중 -9%까지 폭락했으나, 강력한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1.19% 하락으로 마감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이는 기관의 순매수 1위(코스피)가 뒷받침된 결과입니다.
- 환율의 불안정성: 원/달러 환율이 11.5원 급등한 1,449.4원으로 마감하며 장중 1,450원을 터치했습니다. 7개월 만의 최고치입니다. 달러 강세와 외국인 대규모 이탈이 맞물려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을 키우고 있습니다.
🚀 오늘의 상한가 종목 및 특징 섹터 분석
| 구분 | 종목명 (거래대금 상위 30위) | 등락률 | 회사 개요/상한가 이유/특징 |
| 상한가 | 코오롱모빌리티그룹 | +29.78% | 코오롱의 자동차 딜러사. 특별한 개별 이슈 없이 거래대금 상위(7위)에서 단기적인 수급 쏠림에 의한 급등으로 추정. |
| 바이오 | 일동홀딩스 | +29.94% | 제약/바이오 그룹 지주사. 기사에 명확한 이유 부재. 품절주 성격 또는 단발성 재료 노출 가능성. |
| AI반도체 (신규상장) |
노타 | +29.77% | AI 기반 엣지 컴퓨팅 기술 기업. AI 거품론에도 불구하고 개별 AI 모멘텀 부각되며 코스닥 상한가. 기관/외국인 순매수 상위 종목. |
| 바이오(소형주) | 경남제약, 유투바이오, 카티스 등 | (상한가) | 바이오 섹터 단기적인 수급 쏠림에 의한 급등 가능성. |
| 5%↑ 특징주 | NAVER (네이버) | +4.31% | 역대 최대 3분기 매출 기록을 바탕으로 하락장 속에서도 독보적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개별 호재가 시장의 악재를 압도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
| 개별 이슈 | 삼성전자 | -4.10% | 장중 -7.2% 폭락하며 96,700원까지 밀렸으나 10만 원 선 회복 마감. |
| 개별 이슈 | SK하이닉스 | -1.19% | 장중 -9% 폭락했으나, 기관 순매수 1위에 힘입어 낙폭을 거의 다 만회하며 마감. |
📝 어백이의 코멘트 및 전망
- 하락장 속 개별 모멘텀의 중요성: 시장 전체가 급락하는 상황에서는 지수와 무관한 개별적인 강력한 재료나 실적을 보유한 종목만 살아남습니다. 네이버의 선전이 이를 증명합니다.
- AI, 옥석 가리기 시작: AI 버블론 속에서 노타가 상한가를 기록했다는 점은, 옥석 가리기가 진행 중이며 단순 테마보다는 실질적인 기술력과 성장성이 부각되는 종목으로 수급이 집중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반도체 투톱의 '아래꼬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장중 폭락을 딛고 긴 아래꼬리를 달며 낙폭을 크게 줄였다는 것은, 해당 가격대에서는 강력한 저가 매수세가 대기하고 있음을 시장에 증명한 것입니다. 특히 기관이 하이닉스를 저점에서 쓸어 담은 점이 인상적입니다.
🗂️ 기관/외국인 수급 특징 종목 (2025년 11월 5일 마감 기준)
📈 외국인 순매수 (코스피)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삼성전자우, 엘앤에프, 하이브
- 어백이의 통찰: 외국인 매도가 압도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은 순매수 상위입니다.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한국 대표 성장주에 대한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2차전지 섹터의 엘앤에프 매수도 주목할 만합니다.
📈 기관 순매수 (코스피)
SK하이닉스, KODEX 200선물인버스2X, KB금융, TIGER 미국테크TOP10 INDXX, KODEX 인버스
- 어백이의 통찰: SK하이닉스를 장중 폭락기에 대거 매수한 것이 1위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매우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하지만 순매수 상위에 인버스/곱버스(선물인버스2X, 인버스) ETF가 2개나 포함되었다는 것은 기관이 단기적으로 추가 하락에 대비하고 있거나 하락에 베팅했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위험 관리를 우선시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외국인 순매수 (코스닥)
휴젤, 노타, 와이지엔터테인먼트, 파마리서치, 에코프로비엠
- 어백이의 통찰: 바이오/미용(휴젤, 파마리서치)과 엔터(와이지엔터테인먼트), 그리고 AI 신규 상장주(노타)에 집중된 모습입니다. 이는 코스닥 시장에서는 개별 성장 스토리와 실적이 뒷받침되는 분야를 중심으로 선별적인 투자를 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그리고 특히 시장이 큰 하락장에서는 신규상장주가 수급에 의해 상승확률이 높았고 오늘도 상한가 마감했습니다.
📈 기관 순매수 (코스닥)
알테오젠, 심텍, 원익IPS, 유진테크, 올릭스
- 어백이의 통찰: 바이오(알테오젠, 올릭스)와 반도체 장비/부품(심텍, 원익IPS, 유진테크)에 수급이 몰렸습니다. 코스피와 마찬가지로 기술력 기반의 핵심 섹터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장비주는 향후 업황 회복에 대한 기대로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 기타 특징 섹터 및 종목
| 테마명 1 | 반도체 |
| 특징 종목 | SK하이닉스(-1.19%), 삼성전자(-4.10%)가 장중 -9%, -7.2% 폭락 후 반등. 기관은 하이닉스를 저가 매수 1위로 담았고, 원익IPS, 심텍 등도 기관 순매수 상위 유지. |
| 테마명 2 | 바이오 |
| 특징 종목 | 알테오젠 (기관 순매수 1위), 휴젤 (외국인 순매수 1위), 파마리서치 등 개별적인 실적과 기술력을 갖춘 종목을 중심으로 매수세 유입. |
| 개별 이슈 종목 | NAVER(4.31% 상승) - 3분기 최대 실적 발표로 시장 폭락에도 유일하게 빛난 대형주. |
🎯 시장 요약 및 내일의 전망
오늘 시장은 미국발 AI 버블론과 단기 급등 부담이 겹치며 '검은 수요일'을 맞았지만, 장중 -6%대 폭락을 이겨내고 긴 아래꼬리를 달며 4,000선을 지켜냈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외국인의 대규모 매도 속에서 코스피 4,000선 사수는 개인 투자자의 힘이 컸지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극적인 회복은 이 가격대에서 강력한 지지 의사를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다만, 환율 급등과 기관의 인버스 베팅은 여전히 단기적인 위험 회피 심리가 강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내일(11월 6일)의 전망은 단기적인 변동성 장세 지속입니다. 오늘 긴 아래꼬리를 만들었기에 기술적 반등 시도가 나올 수 있으나, AI 버블론이 쉽게 사그라들기 어렵고 외국인의 추가 매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단기적으로 코스피 지수 4000부터 개인은 순매수 , 외국인은 순매도를 했기 때문에 쉽게 반등을 주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그래서 오늘 주도주 하락에 따라 다른 섹터인 바이오가 움직였고 코스닥종목들이 하락이 아닌 상승을 보였습니다.
내일도 코스피 보다는 코스닥 바이오 섹터나 반도체소부장,2차전지 등 기존에 상승을 덜 보인 섹터에서 움직임이
나올것으로 보입니다.
- 투자 전략:
- AI 관련주: 단순 테마주보다는 노타처럼 실질적인 기술력과 실적이 뒷받침될 수 있는 종목으로 옥석 가리기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 안정성 확보: 기관이 인버스 ETF를 매수했듯이, 공격적인 투자보다는 현금 비중을 확보하고 시장의 방향성이 명확해질 때까지 관망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 핵심 섹터 저가 매수: SK하이닉스가 보여주었듯이, 기관과 외국인이 폭락장에서 담아내는 한국 증시의 핵심 성장주(반도체, 2차전지, 자동차)는 추가 조정 시 분할 매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징주 관련 기사 링크]
더 많은 정보알아보기
2025.11.04 - [주식 스터디 및 정보/종목 분석] - "연 1조원 월세 받는다!" MSD 잭팟 터진 알테오젠, 지금이라도 안 늦었을까? (주린이 필독)
'주식 공부(상한가 종목 및 시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미 셧다운 종료 기대감과 7거래일 만의 '외국인 귀환'! 널뛰기 장세 속 수급이 향한 곳은? (11월 11일 마감 시황) (0) | 2025.11.11 |
|---|---|
| 코스피 4000 '하루 만에' 탈환! 기관 1.3조 순매수, '정책 랠리'는 이제 시작이다. (0) | 2025.11.10 |
| 코스피 4100선 붕괴! 4년 만의 외인 '역대급 투매'가 시작된 이유 (2025. 11. 4) (0) | 2025.11.04 |
| "거래대금 35조 폭발!" AI 광기가 낳은 '반도체 & 로봇'만의 잔치 (11월 3일 시장 분석) (0) | 2025.11.03 |
| [2025년 10월 30일 목요일] 코스피 4100 돌파 후 '제자리걸음', 재료를 등에 업은 종목만 빛났다 (0) | 2025.10.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