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주식 마감 시황)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갈망하는 어백이입니다.
오늘 시장, 그야말로 '폭발'이라는 단어가 어울리는 하루였습니다.
코스피가 무려 96포인트(2.50%) 급등하며 3,941.59에 마감했습니다.
3900선을 단숨에 넘어, 이제 '사천피'가 정말 눈앞에 다가왔습니다.
오늘 상승의 주역은 단연 기관이었습니다. 무려 1조 4,054억 원을 순매수했는데,
이는 2022년 1월 이후 약 3년 9개월 만의 최대 규모입니다.
외국인 역시 5,756억 원을 함께 사들이며, 그동안 관망하던 기관까지 드디어 '쌍끌이 매수'에 동참하는 모습입니다.
미중 정상회담 기대감과 간밤 인텔의 호실적이 만들어낸 '반도체 랠리'에, 바닥을 다지던 '2차전지'가 대형주 급등은
물론 관련 중소형주 상한가까지 속출시키며 가세하니 그야말로 거칠 것이 없는 상승장이 연출되었습니다.
오늘의 시장 데이터
- 코스피 지수: 3,941.59 (+96.03p, +2.50%)
- 코스피 수급: 외국인 +5,756억, 기관 +1조 4,054억, 개인 -2조 5억
- 코스피 거래대금: 17조 8,007억
- 코스닥 지수: 883.08 (+11.05p, +1.27%)
- 코스닥 수급: 외국인 +353억, 기관 +1,620억, 개인 -1,120억
- 코스닥 거래대금: 9조 118억
수급 동향 분석
20년 투자 경험상, 오늘처럼 외국인과 기관이 동시에 대형주를 향해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는 날은 시장의 '방향성'이 결정되는 날일 가능성이 큽니다. 개인의 매도 물량을 가볍게 소화하며 지수를 올렸다는 것은, 이들이 현 지수대도 여전히 매력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 코스피 순매수 상위
- 외국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일진전기, 포스코퓨처엠, 이수페타시스
- 기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KODEX 레버리지,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어백이 코멘트: 예상대로 '반도체 투톱(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외인과 기관의 수급이 압도적으로 집중됐습니다. 특히 기관은 지수 상승 자체에 베팅하는 'KODEX 레버리지' ETF와 함께, 그동안 부진했던 2차전지 대형주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까지 대거 바구니에 담았습니다. 포트폴리오를 '대형주' 중심으로 확실하게 재편하려는 의지가 엿보입니다. 외국인이 일진전기(전력), 이수페타시스(AI 기판)를 담은 것도 눈에 띕니다.
📉 코스닥 순매수 상위
- 외국인: 에코프로비엠, 대주전자재료, 엔켐, 우리기술, 로보티즈
- 기관: 에코프로비엠, 원익IPS, 에코프로, 테크윙, 이오테크닉스
어백이 코멘트: 코스닥 역시 시장의 주도 섹터가 명확히 드러났습니다. 기관과 외국인 모두 '에코프로비엠'을 동시 순매수하며 2차전지에 대한 시각 변화를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기관은 '원익IPS', '테크윙', '이오테크닉스' 등 반도체 소부장 종목들을 대거 매수하며 반도체 랠리 확산에 베팅하는 모습입니다.
오늘의 상한가 종목 (2차전지/ESS)
- 중앙첨단소재
- 강원에너지
- 유일에너테크
[분석] 리튬·2차전지 테마 폭등…강원에너지·중앙첨단소재 상한가 - 김윤교 기자 - 톱스타뉴스 - 경제/시세
2차전지 전고체 관련주, '웃음' 유일에너테크·이브이첨단소재·한농화성·나인테크 < 핫이슈 < 사회 < 기사본문 - 현대경제신문
어백이 코멘트: 오늘 시장이 얼마나 2차전지에 집중했는지 보여주는 가장 강력한 증거입니다. 상한가를 기록한 이 3종목 모두 2차전지 소재 및 장비, 혹은 ESS(에너지저장장치)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LG엔솔, SDI 같은 대형주만의 반등이 아니라, 섹터 전반으로 온기가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ESS 관련주가 움직였다는 것은 '전력 인프라'라는 시장의 또 다른 큰 테마와도 연결고리가 생기는 부분입니다. 대형주가 랠리를 이끌고, 중소형 테마주가 상한가로 화답하는 전형적인 '주도 섹터'의 모습을 갖추었습니다.
시장 특징주 및 테마 정리
📊 거래대금 상위 특징주 (5% 이상 상승)
- SK하이닉스 (+6.58%) - 반도체
- 두산에너빌리티 (+6.03%) - 원전
- 삼성SDI (+13.57%) - 2차전지
- 포스코퓨처엠 (+18.92%) -2차전지
- 이수페타시스 (+18.26%) - 반도체
- LG에너지솔루션 (+9.94%) -2차전지
- 에코프로비엠 (+8.28%) - 2차전지
- 현대건설 (+16.64%) -AI 데이터센터 건설/전력
- POSCO홀딩스 (+5.68%) - 2차전지
- 일진전기 (+15.03%) - 전력
어백이 코멘트: 오늘 거래대금이 몰린 종목들은 시장의 주도주가 무엇인지 명확히 보여줍니다. SK하이닉스, 삼성SDI,
포스코퓨처엠, LG에너지솔루션 등 반도체와 2차전지 대표주들이 엄청난 거래대금을 동반하며 급등했습니다.
특히 포스코퓨처엠의 18%대 상승은 그동안 눌려있던 2차전지 섹터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얼마나 뜨거운지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 주요 테마별 상승 흐름
- 1) 반도체 (SK하이닉스, 이수페타시스)
- 간밤 인텔의 호실적과 AI 수요 지속 기대감이 '50만 닉스'를 안착시켰습니다. 삼성전자 역시 '10만 전자'를 향해 순항 중이며, AI 관련 기판주인 이수페타시스까지 강력한 시세를 분출했습니다.
- 2) 2차전지 (삼성SDI, 포스코퓨처엠, LG엔솔, 에코프로비엠, 상한가 3종목)
- 오랜 조정 끝에 드디어 '진짜 반등'이 나왔습니다. 기관과 외인의 자금이 대형주(삼성SDI, LG엔솔, 포스코퓨처엠)로 유입되는 동시에, 중앙첨단소재, 강원에너지, 유일에너테크 등 중소형주가 상한가로 마감하며 섹터 전체의 랠리를 확인시켰습니다.
- 특히 ESS(에너지저장장치)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인 것은, AI 데이터센터 등으로 촉발된 '전력 인프라' 테마와도 궤를 같이한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큽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개별 이슈(스텔란티스 ESS)까지 더해져 오늘은 그야말로 '2차전지의 날'이었습니다.
- 3) 원전/전력/데이터센터 (두산에너빌리티, 현대건설, 일진전기)
- AI 시대의 필연적인 '전력난' 테마입니다. 이는 단기 이슈가 아닌 중장기적인 구조적 성장 스토리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특히 현대건설은 데이터센터와 원전 모멘텀을 모두 받으며 16%대 급등을 보였습니다.
마무리 및 월요일 시장 전망
요약하자면, 오늘은 '반도체'와 '2차전지'라는 대한민국 증시의 두 축이 기관과 외국인의 강력한 수급을 바탕으로 시장을 견인한, 매우 의미 있는 날이었습니다. 2차전지는 대형주 반등을 넘어 관련주 상한가까지 나오며 섹터 전체의 부활을 알렸습니다.
다만, 20년 넘게 시장을 봐온 경험상, 급등 뒤에는 항상 과열 신호를 경계해야 합니다. 신용거래융자가 24조 4천억 원으로 이틀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의 '포모(FOMO)' 심리가 극에 달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당장 다음 주에는 경주 APEC 정상회의(미중 회담 관련)와 미국 FOMC, 유럽 ECB, 일본 BOJ 등 굵직한 글로벌 통화정책 이벤트들이 대기하고 있습니다.
4000 고지를 눈앞에 둔 만큼, 이들 이벤트의 결과를 확인하며 숨 고르기 장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 확인했듯이 시장의 '펀더멘털(실적)'과 '수급'이 받쳐주고 있어 큰 방향성은 여전히 '상승'에 무게를 둡니다.
무조건적인 추격매수보다는, 단기 조정을 이용해 오늘 시장이 확인시켜 준 '반도체, 2차전지 (대형주 및 ESS 등 중소형주 포함), AI/전력' 주도주들을 포트폴리오에 편입하는 전략이 유효해 보입니다.
'주식 공부(상한가 종목 및 시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장중 -1% 급락! 외국인 1.6조 매도 폭탄에도 개인이 지켜낸 4000선, APEC 테마주 상한가 (두산퓨얼셀) (0) | 2025.10.28 |
|---|---|
| [2025년 10월 27일] 코스피 4,000 시대 개막! '십만전자'와 함께 조선주가 폭발한 이유 (1) | 2025.10.27 |
| KOSPI 3900 터치 후 '숨고르기', 반도체·2차전지 쉬는 틈 노린 이 종목들 (2025.10.23 시장분석) (0) | 2025.10.23 |
| 2차전지·조선 폭등! 기관이 쓸어담으며 코스피 종가 신기록 달성 (10월22일 수요일 주식 마감 시황) (0) | 2025.10.22 |
| 2025년 10월 21일 시황 - '10만 전자' 앞 숨 고르기? 관세 협상 기대감에 조선·자동차 랠리! (0) | 2025.10.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