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8일 주식 마감 시황: 냉랭한 美 증시에도 솟아난 구멍, 정부 정책이 쏘아 올린 건설주!

반응형

 

2025년 9월 8일 월요일 마감 시황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갈망하는 어백입니다.

간밤 미 증시가 하락으로 마감하며 투자 심리가 다소 위축될 수 있는 아침이었습니다. 하지만 20년 넘게 시장에 몸담으며 느낀 점은, 시장은 기댈 곳이 없으면 스스로 갈 길을 만들어낸다는 것입니다. 오늘 시장이 바로 그랬습니다. 외부의 훈풍 없이도,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공급 정책 발표라는 내부 동력이 건설/건자재 섹터를 폭발시키며 새로운 주도주 탄생을 알렸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가 지수를 견인한 것은 사실이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들의 자금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거시적인 지표보다 시장의 돈이 움직이는 길목을 지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깨닫게 되는 날입니다.


오늘의 증시

구분 지수 등락률 수급 (억 원) 거래대금 (조 원)
코스피 3,219.59 ▲0.45% 외국인 +2,318 / 기관 +776 8.15
코스닥 818.60 ▲0.89% 기관 +506 / 외국인 -349 5.75
 

미증시 하락에도 불구하고 우리 증시는 강했습니다. 코스피와 코스닥 양 지수 모두 상승 마감에 성공했습니다.

특히 코스피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3천억 원이 넘는 합산 순매수를 기록하며 지수 하방을 단단히 지지했습니다.

개인이 3,850억 원을 순매도하며 차익 실현에 나섰지만, 시장의 큰손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습니다. 이는 단순한 기술적 반등을 넘어, 새로운 시장의 중심축을 잡으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코스닥 역시 기관의 순매수세에 힘입어 5조 7천억 원이 넘는 거래량을 기록하며 견조한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오늘의 상한가

  • 화승알앤에이 (코스피, +30.00%)
    • 회사 개요: 자동차용 고무제품(실링, 호스 등)을 생산하는 대표적인 자동차 부품 전문 기업입니다. 현대차·기아를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부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상한가 이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피지컬 AI(인공지능) 핵심기술 실증사업' 참여 기업으로 최종 선정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자동차 부품사를 넘어, AI를 활용한 첨단 자율제조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회사의 미래 성장 동력을 시장이 매우 높게 평가한 결과입니다. 단순 테마를 넘어선 정부 주도 프로젝트 참여라는 점에서 재료의 신뢰성이 매우 높습니다. 관련 기사: 화승알앤에이, 피지컬AI 실증사업 참여…제조혁신 속도 - 국민일보  
  • 씨피시스템 (코스닥, +29.92%)
    • 회사 개요: 반도체, 디스플레이, 공작기계 등 자동화 설비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케이블 보호 시스템 전문 기업입니다. 최근 조선업의 슈퍼사이클 기대감과 함께 주목받고 있습니다.
    • 상한가 이유: 국내 조선사가 참여하는 'MASGA 프로젝트' 관련 공급 계약 체결 소식이 전해지며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단순 테마를 넘어, 회사의 기술력이 실제 수주로 연결되고 있음을 증명하는 강력한 재료입니다. 조선업의 부활과 함께 동반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은 종목입니다. 씨피시스템, MASGA 핵심 조선사에 특수케이블체인 공급 :: 공감언론 뉴시스 :: (newsis.com)
  • 동일스틸럭스 (코스닥, +29.93%)
  • KD (코스닥, +30.00%)
    • 회사 개요: 건설사업부문과 전자사업부문을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특히 건설 부문을 통해 오늘 시장의 핵심 테마에 편입되었습니다.
    • 상한가 이유: 정부의 '수도권 135만 채 주택 공급 확대 방안' 발표에 따라 건설 관련주들이 동반 급등하며 상한가에 안착했습니다. 정책 발표의 직접적인 수혜주로 분류되며 매수세가 집중된 모습입니다. 오늘 건설 섹터의 대장주 역할을 톡톡히 해냈습니다. 관련 기사: 정부 주택공급 확대 발표에 건설 관련주 급등

시장 주도주 수급 동향

구분 외국인 순매수 상위 기관 순매수 상위
코스피 1. KODEX 200 1. KODEX 200
  2. SK하이닉스 2.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
  3.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 현대로템
  4. 이수페타시스 4. KODEX 200
  5. 삼성전자 5.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코스닥 1. 제주반도체 1. 테크윙
  2. 원텍 2. 리노공업
  3. 파마리서치 3. 파마리서치
  4. PSK홀딩스 4. 클래시스
  5. 에코프로비엠 5. 오스코텍
 

오늘 수급 동향은 시장 참여자들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코스피에서 외국인은 SK하이닉스, 이수페타시스, 삼성전자 등 반도체 대표주들을 집중적으로 매수하며 업황 턴어라운드에 베팅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동시에 방산주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담으며 개별 모멘텀도 놓치지 않았습니다. 반면 기관의 수급은 흥미롭습니다. 상위 5개 중 4개가 ETF(지수 추종 상품)일 정도로 개별 종목 베팅에 극도로 소극적이었습니다. 유일하게 이름을 올린 현대로템이 오늘 기관이 신뢰한 단 하나의 종목이었던 셈입니다.

코스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의 생각이 일부 일치했습니다. 양측 모두 파마리서치를 순매수 상위에 올리며 리오프닝 및 미용/의료기기 섹터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공유했습니다. 또한 기관이 테크윙, 리노공업 등 반도체 후공정주를, 외국인이 제주반도체, PSK홀딩스 등 팹리스 및 장비주를 사들이며 반도체 섹터 내에서도 각자의 시각으로 유망주를 발굴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특징주 및 주요 섹터

  • 특징주 (5% 이상 상승): 엘앤씨바이오(+20.28%), HJ중공업(+15% 이상), 세진중공업(+21% 이상), 클로봇(로봇 섹터 동반 강세), 오리엔탈전공(+9.92%), 이수페타시스(+5% 이상)
  • 테마 1: 건설 및 건자재
    • HJ중공업, 금강공업, KD, 아세아시멘트 등
    • 정부의 강력한 주택 공급 정책 발표는 단순한 하루짜리 뉴스가 아닙니다. 이는 향후 몇 년간 이어질 수 있는 거대한 산업 사이클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일 수 있습니다. 오늘 시세는 시작에 불과할 가능성이 높으며, 눌림목 발생 시 포트폴리오에 편입을 고려해볼 만한 가장 매력적인 섹터입니다.
  • 테마 2: 조선 및 기자재
    • 세진중공업, 씨피시스템, 오리엔탈전공 등
    • 미국의 MRO(유지·보수·정비) 사업 기대감과 더불어 'MASGA 프로젝트' 등 실제 수주 소식이 이어지며 조선 및 관련 기자재 종목들이 강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특히 세진중공업HJ중공업은 신고가를 경신하며 시장의 주목을 한 몸에 받았습니다. 실적이 뒷받침되는 성장이 기대되는 섹터입니다. 관련 기사: 세진중공업, 9거래일 연속 상승에 역대 최고가 경신

마무리 및 내일 전망

오늘 시장은 '정책이 곧 재료'라는 주식 시장의 오랜 격언을 다시 한번 증명했습니다. 정부의 부동산 공급 확대 정책은 건설 및 건자재 섹터를 시장의 중심으로 끌어올렸고, 이는 당분간 시장의 가장 뜨거운 테마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급을 통해 확인된 외국인의 반도체 사랑과 기관의 보수적인 스탠스, 그리고 양측의 공통된 관심사인 파마리서치 등은 앞으로의 시장을 읽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입니다.

내일 시장 역시 건설주의 시세 연속성이 가장 중요한 관전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 오늘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들의 추가 상승 여부와, 상승세가 다른 중소형 건설주로 확산되는지를 주목해야 합니다. 다만,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 출회 가능성도 열어두고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시장의 새로운 주도주가 나타난 만큼, 이제는 막연한 지수 추종보다는 돈의 흐름이 집중되는 섹터와 종목에 대한 현미경 분석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반응형